티스토리 뷰

728x90
반응형

익스프레스 기본 서버 구동.


기본 프로젝트 폴더를 하나 만들어준다.


1. 터미털에서 그 프로젝트 폴더로 이동 

- cd 프로젝트경로 ( IDE 터미널같은 경우 프로젝트 폴더에서 기본 시작한다 )


2. package.json생성을 시켜준다.

npm init

3. express 설치 

npm install express


4. server.js 파일 만들고 아래와 같은 내용 코딩. 


require() : 코드에 모듈을 호출할 때 사용.

NPM 애플리케이션의 최상위 폴더 아래 node_modules라는 폴더에 외부 모듈을 설치한다.외부모듈을 사용하려면  핵심 모듈을 require로 호출하면 된다. 노드는 핵심 모듈 폴더에서 해당 모듈을 찾은 다음에 node_modules 폴더 내부에서 모듈을 찾으려 시도한다. require로 호출할때 .js 확장자를 생략할 수 있다. 노드는 알아서 해당 이름으로 폴더를 찾으며, 찾지 못하면 적용가능한 .js 파일을 찾을 것이다.


exports : 이 객체는 각 모듈에 포함되어 있으며 모듈이 올라올 때 작성한 코드를 외부에 노출 할 수 있게 한다.

module : 이 객체는 원래 모듈에 대한 메타데이터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었지만

               exports객체 구현방식의 인기 탓에 의미가 퇴색되어 버렸다.

//require로 시작해 새로운 익스프레스 객체를 생성
var express=require('express');
var app=express();

//use 메서드는 미들웨어 함수를 특정 경로에 등록한다.
//루트경로로 들어오는 어떤 HTTP 요청에도 응답한다.
app.use('/', function(req, res) {
//res.send() 메소드는 응답을 돌려보내기 위해 사용
//response 객체 타입에 대응하는 Content-type 헤더를 설정하고
//커넥트의 res.end()메소드를 사용해 응답을 돌려 보내는 익스프레스 래퍼이다.
res.send('Hello World');
});
//listen()메소드는 익스프레스 애플리케이션에 포트 3000번을 듣게 지시.
app.listen(3000);
console.log('Server running at http://localhost:3000/');

//애플리케이션 객체 반환.
module.export=app;

4. 터미널에서 node server 입력 실행.

- 터미널에선 console.log에 입력한 Server running at http://localhost:3000/ 이란 문구가 뜬다.

- 브라우저에 http://localhost:3000/ 입력하면  개발 만국공용어 Hello World 가 떠 있을 것이다.

728x90
반응형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