tooltip( 말풍선 ) CSS HTML Element의 속성 값을 활용하여 별도의 js없이 HTML/CSS로만 tooltip( 말풍선 ) 만들기. - 이전 포스트의 "tooltip( 말풍선 ) CSS (1)" 보단 좀더 활용도가 있을 듯 싶다. HTML 댓글달기 CSS /* 툴팁 balloon */ .bt-tooltip { position: relative; display:inline-block; } .bt-tooltip:hover[data-title]:before, .bt-tooltip:hover[data-title]:after { visibility: visible; pointer-events: auto } .bt-tooltip[data-title]:before, .bt-tooltip[data-t..
질문을 통해 적용하고자 하는 오퍼레이터를 찾을 수 있다.물론 영어로 되어 있으니 번역 능력을 알아서..... ( 당연~ 구글번역으로 고고 ㅠㅠ ) http://reactivex.io/rxjs/manual/overview.html#choose-an-operator 해당 링크로 접속해 들어 가면 아래와 같이 operator 선택란이 크게 3가지 질문 유형이 나온다. 3가지 유형중 2번째 옵션을 선택했다.( 어떤 observable을 observable 데이터 무리에 병합 )2번째 옵션을 선택 후 다음 추가 질문 옵션이 나온다 ( 각각 순서대로 구독하는 옵션으로 맨 마지막의 옵션으로 선택. ) 뙁!!!! 아래처럼 concat 이라고 뜸...
Angular Directive - 제일 헷갈리는 녀석들 ViewContainerRef- ViewContainerRef는 하나이상의 뷰를 포함시킬수 있는 컨테이너이다. 이 컨네이너에는 2종류의 뷰가 포함될 수 있다. 하나는 ViewContainerRef의 createComponent 메소드를 통해 컴포넌트를 인스턴스화하여 만든 호스트 뷰이고 또 하나는 ViewContainerRef 의 createEmbeddedView 메소드를 통해 ng-template 을 인스턴스화 하여 포함한 임베디드뷰이다. 다시 말해 ViewContainerRef는 새로운 요소(컴포넌트나 ng-template 디렉티브로 래핑된 요소)를 DOM에 삽입하기 위해 필요한 컨테이너(DOM요소) 로서 createComponent, creat..
# def 키워드는 파이썬에게 지금부터 함수를 정의한다고 알림. # 함수 안쪽에 들여쓰기 한부분은 함수 바디 # 함수 바디에 따옴표 3개로 둘러싼부분은 독스트링 이라고 불리는 주석. def greeter_user(username): """독 스트링 - 간단한 환영 인사""" print("Hello, " + username.title() + "!") # 매개변수 greeter_user('jbc') # greeter_user() 함수는 변수 username을 요구하도록 정의됨. # 여기서 username은 매개변수라고 한다. # 함수를 호출할 때 전달하는 값도 매개변수라고 함. # 키워드 매개변수 # 기본값 - 매개변수의 기본값 정할 수 있다. 함수 호출시 매개변수를 넘기면 파이썬은 그값을 사용한다. def..
# input() 함수는 프로그램을 잠시 중단하고 사용자가 텍스트를 입력할 때까지 기다린다 # input() 함수는 매개변수를 하나만 받는다 # message = input("Tell me something and I will repeat it back to you: ") # print(message) # name = input("please enter your name: ") # print("Hello "+ name + "!") prompt = "If you tell us who you are we can personalize the message you see. " prompt += "\nWhat is your first name? " # name = input(prompt) # age = input..
말풍선 css ~ 캬 죽인닷~아래 URL에서 여러포지션으로 수정해 볼 수 있다. http://www.cssarrowplease.com/ .arrow_box { position: relative; background: #88b7d5; border: 4px solid #c2e1f5; } .arrow_box:after, .arrow_box:before { bottom: 100%; left: 50%; border: solid transparent; content: " "; height: 0; width: 0; position: absolute; pointer-events: none; } .arrow_box:after { border-color: rgba(136, 183, 213, 0); border-bottom..
# 딕셔너리에는 거의 무한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. # 단순한 딕셔너리 alien_0 = {'color': 'green', 'points': 5} print(alien_0['color']) print(alien_0['points']) # 새 키-값 쌍 추가하기 alien_0['x_position'] = 0 alien_0['y_positiion'] = 25 print(alien_0) # 딕셔너리 값 수정하기 alien_0['color'] = 'yellow' print('The alien is now '+alien_0['color']) # 키 - 값 쌍 제거하기 del alien_0['points'] print(alien_0) # 키 - 값 쌍 전체에 루프 실행하기 user_0 = { 'username':..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svg모션
- 아이콘 폰트 만들기
- Vue3
- JsDoc
- 코도바
- IntrinsicElements
- react-router-dom
- svg 폰트
- React.StrictMode
- 앵귤러
- Intrinsic
- svg icon font
- 자바스크립트
- react
- 태그
- for of 구문
- Angular
- cordova
- Aptana
- RefreshToken
- icon font
- git checkout -b
- anime.js
- vue-router
- 내장요소
- 반복문
- interceptors
- git
- CSS
- 리프래시토큰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|||
5 | 6 | 7 | 8 | 9 | 10 | 11 |
12 | 13 | 14 | 15 | 16 | 17 | 18 |
19 | 20 | 21 | 22 | 23 | 24 | 25 |
26 | 27 | 28 | 29 | 30 | 3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