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728x90
반응형
mac m2 환경에서 nvm 설치
1. brew 로 nvm 설치
brew install nvm
2. 설치 되었는지 버전 확인
nvm --version
- 설치가 안되고 nvm not found라는 에러 나오면 환경설정 수정해야 한다.
1. z shell 을 연다.
( 기본 쉘 (Shell) 이 bash 에서 zsh (Z shell)로 변경 되었음을 OS, 즉 노트북을 바꾸고 알았다 ㅠㅠ )
vi ~/.zshrc
2. 쉘스크립트가 열리면 아래 코드를 입력한다 ( vi 로 열었을때 i 를 누르면 insert 즉 입력가능해진다 )
export NVM_DIR="$HOME/.nvm"
[ -s "$NVM_DIR/nvm.sh" ] && \. "$NVM_DIR/nvm.sh" # This loads nvm
export NVM_DIR=~/.nvm
export PATH=/opt/homebrew/bin:$PATH
source $(brew --prefix nvm)/nvm.sh
export PATH=/opt/homebrew/bin:$PATH 라는 내용은 command not found : brew 라는 에러 발생해서 추가해 주었던 부분이다.
참고로 해당 에러 발생은 'Homebrew가 /usr/local/... 가 아닌 /opt/homebrew/ 에 설정되어 있어서 그렇다' 라고 해서 해당 부분은 경로를 추가해 해결하였다. 아래는 쉘스크립트에서 기존의 $PATH 값에 새로운 경로추가시 경로 추가하는 법이다.
( 추가되는 디렉렉터리는 :(쌍점, 콜론)으로 구분 )
PATH=/추가경로1:/추가경로2:$PATH
3. 입력이 끝나면 esc키 누른다. 그리고 :wq ( 저장후 종료 ) 타이핑을 치고 엔터 누르면 편집에서 빠져나오게 된다.
4. source 명령어로 아까 입력한 부분을 실행시킨다.
( 참고로 source 명령어는 command를 읽고 실행하는 bash 내장 명령어 )
source ~/.zshrc
728x90
반응형
'유용한 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git] fatal: 정방향이 불가능하므로, 중지합니다. (0) | 2022.12.15 |
---|---|
clip-path maker / linearGradient (0) | 2022.12.14 |
Webstorm HttpClient 사용해 보기 (0) | 2022.08.11 |
웹스톰에서 TypeError: this.cliEngineCtor is not a constructor 오류 (0) | 2022.05.30 |
git branch 관련 명령어 (0) | 2022.05.25 |
댓글
250x250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- Total
- Today
- Yesterday
링크
TAG
- JsDoc
- 내장요소
- for of 구문
- 리프래시토큰
- svg 폰트
- 반복문
- svg모션
- svg icon font
- 아이콘 폰트 만들기
- 코도바
- React.StrictMode
- 자바스크립트
- IntrinsicElements
- CSS
- RefreshToken
- react-router-dom
- icon font
- 태그
- anime.js
- git
- Angular
- Aptana
- cordova
- 앵귤러
- react
- Vue3
- git checkout -b
- vue-router
- Intrinsic
- interceptors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글 보관함